Firefox Ubiquity: 웹브라우징의 새 지평을 열다

by 정지웅

What is Ubiquity?

얼마 전에 Ubiquity라는 도구가 소개되면서 웹 세상을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이미 접해보신 분도 많겠지만 Ubiquity는 Firefox 브라우저의 플러그인입니다 (설치 URL).

브라우저상에서 단축키를 누르면 간단한 커맨드 입력창이 뜨고, 이 창에 명령과 수행할 대상을 입력합니다.  Ubiquity는 그 명령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죠. 길고 복잡한 명령을 언제 다 치냐구요? 한두 글자만 입력해도 이미 적절한 결과를 가이드해줍니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Twitter에 접속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글을 남길 수 있지요. 'add' 까지만 치고, 한 칸 띈후 일정에 대한 설명을 입력하면 'add-to-calendar'란 명령을 통해, 구글 캘린더에 일정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시겠네요.


Ubiquity for Firefox from Aza Raskin on Vimeo.

Ubiquity 단축키를 누른후, 간단한 키입력 한두 글자 만으로도 무궁무진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각 기능들에 대한 일람은 여기에 잘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대략 아래의 3가지 축으로 기능들을 나눠 볼 수 있겠네요

1. 검색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은, 다양한 검색엔진 및 검색기능과의 연동입니다. Google,Amazon,Youtube등 다양한 소스들을, 한두 글자 입력을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요약 결과는 실시간으로 Ubiquity 창에 보여지죠.

2. 웹 애플리케이션 연동
Delicious , Google Maps, Google Calender 등은 막강한 기능을 지원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상 사용자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접속이라는 단계를 거쳐야 하는 장벽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브라우저 플러그인 설치등을 통해 극복할 수 있지만, Ubiquity는 단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3. 브라우저나 Javascript를 이용한, 자체 기능
탭 조작이나 선택한 텍스트의 글자수 세기 같은 간단한 기능들도 Ubiquity를 통해 사용할수 있습니다. 어찌보면 단순한 기능이지만 여태까지 저런 기능들때문에 직접 웹사이트를 찾아헤맸던 사용자들이 얼마나 많았던지요.

작은 변화, 새로운 경험, 큰 파장.


어떻게 보면, Ubiquity는 사용자 경험을 작게나마 변화시킨 시도에 불과합니다. 유사한 시도들도 이미 많이 존재했죠. Ubiquity를 개발한 Aza Raskin이 이전에 선보였던 Enso만 해도 그렇습니다. (여담이지만, Aza Raskin은 맥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Jef Raskin의 아들입니다. 사용자 경험을 향한 2대에 걸친 노력들. 멋지지 않나요? ^^)

하지만, Ubiquity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왜냐하면 첫째로 웹브라우저와 통합되었기에, 웹에 있는 다양한 리소스들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말그대로 "Ubiquitous Tool"이 되었기 때문이구요. 둘째,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과 엮이는 플랫폼으로써 기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개발자들은 간단한 프로그래밍만으로도, Ubiquity를 위한 추가기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철수님은 벌써 Ubiquity용 me2day 커맨드를 만들어 공개하셨네요!)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두번째 흐름, "플랫폼"입니다. 도대체 플랫폼이 뭐길래 Ubiquity가 이런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요?

브라우저가 플랫폼이 되는 세상

이제는 우리에게도 많이 친숙해진 Open API. 대체 이득이 뭐길래, 소중한 자산인 데이터와 기능을 개방하는 것일까요? 그 이면에는 바로, 플랫폼에 참여하는 Player들의 자산을 활용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는 생태계 중심의 전략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것을 주고 내가 가지지 못한 것은 생태계에서 보충함으로써 서로 공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런 플랫폼의 출현은 비단 Facebook과 같은 웹 서비스 플랫폼이나 Google과 같은 인프라 플랫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바로 이전부터 이야기되었던 웹브라우저의 플랫폼화 - 'Browser as Platform'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이죠. 우리가 늘상 쓰는 웹브라우저를 이러한 생태계의 중심에 놓겠다는 시도인것입니다. 그리고 결국 이를 통해 특정 사이트나 서비스의 틀에 억매이지 않고 사용자와 그 생태계의 참여자들에게 공정하게 배분하겠다는 시도가 이런 '플랫폼으로써의 브라우저'이 의미하는 바라고 하겠습니다.

보다 자세한 이야기는 Mashable에 언급된 Ubiquity에 대한 이야기를 보시거나, 오래 전부터 이 주제를 이야기해오신 Channy님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포털 vs 플랫폼 전쟁의 서막

이런 변화들이 여태까지 '웹 2.0'이라는 제목을 달고 나온 많은 변화들처럼 그저 해외의 사례로만 치부될까요? 사실 이번 변화는 우리나라에 불어 닥칠 경우 그 파장이 가장 클 것이라고 조심스레 예측해 봅니다.

왜일까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 사용자들의 근본적인 웹 사용양태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포털 사이트가 모든 사용자 경험의 중심에 놓여있습니다. 아래 세 가지 관점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죠.
  • URL 체계 -> 포털 검색창
    대부분의 사용자는 도메인이나 URL은 인식조차 하지 못합니다. 이미 검색창이 웹의 모든 곳으로 가게 해주는 가장 편리한 수단이거든요.
  • 웹 데이터베이스 -> 포털의 자체 DB
    여러 곳에 분산된 데이터들조차 무의미합니다. 좋은 정보가 잘 구축되어있는 사이트가 100개 있어도 그런 정보들을 취합해 구조화된 인터페이스로 더 잘 정리해놓으니까요. 좋은 정보가 필요하면 자체 DB를 더 늘려 나갈 뿐입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 -> 포털의 자체 웹 애플리케이션
    상당수의 사소한 기능마저 포털에서 제공하는 작은 서비스 하나로 대체되는 걸요. 다른 서비스들은 뭘하죠?
여기에 더해 각 포탈들의 폐쇄전략으로 인해 각각은 닫힌 계(System)로 동작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폐쇄전략을 세련스럽게(?) 잘 수행하고 있는 네이버가 한국의 웹을 독점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실정이고요.

하지만 Ubiquity를 기수로 내세우는 Firefox같은 브라우저 중심의 플랫폼들이 전면에 나서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보다 나은 접근성,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 보다 다양한 선택을 내세우면서요.

그때에 이르면 포털은 더 이상 닫힌 계로 동작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얻고 나가버리면 그만이거든요. 아웃링크(Out Link) 중심의 사용양태가 나타나면 포털이 주는 상대적인 기득권들은 하나씩 무력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그 기득권의 합리적인 이유가 되는 광고라는 수익모델이 근본적으로 타격을 받게 되지요. 적어도 더 이상 검색결과 상위를 할당하는 검색광고나 무작위적인 디스플레이광고가 더 이상 효력을 발휘할 수 없을테니까요.

모든 것은 이제부터 시작일뿐.

사실 이런 상황은 매우 낙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긴 합니다. 한국 웹 시장의 현실은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아도 모두 알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동시에 그만큼 가능성 또한 높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또 앞으로의 글들에서 꾸준히 말씀드리겠지만 브라우저가 아닌 다른 형태와 다른 영역의 플랫폼들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구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주고 싶다던 Raskin 부자의 꿈에서 시작한 Ubiquity라는 작은 시도가 모질라 재단의 플랫폼 전략과 만나 거대한 변화의 물꼬를 트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의 징후 속에 어떤 기회를 찾아야 할까요?

한 가지 분명하게 말 할 수 있는 것은, '게임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것이겠지요 :)